지식공유

다음세대재단은 공익활동에 필요한 비영리 미디어 콘텐츠를 생산 및 유통하는 지식공유허브로
ChangeON.org 사이트를 운영하였습니다. 2010년도부터 시작한 허브 사이트는
소셜미디어, 모바일, 웹서 비스 등 비영리에게 타켓팅 된 다양한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였습니다.

트위터? 그게뭔데!?

트위터는 140자로 자신의 생각을 공유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기반으로, 관심있는 사람들의 글을 구독 (팔로잉)하고, 나의 글도 구독자(팔로어)가 생기면서 소통과 그 이상의 일들이 벌어지는 소셜미디어의 대표적인 서비스입니다. <2006년 3월 21일, 첫 트위터 게시물>2011년 3월21일 트위터는 첫 게시물(트윗)을 날린지

페이스북 그룹 만들고 활용하기

비영리 단체들은 제한된 리소스를 최대한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늘 숙제인 것 같습니다. 스탭 사이의 의사 소통, 자원봉사자들과의 코디네이션, 회원 및 후원자들과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시간과 노력이 많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아주 좋은 툴이 있습니다. 지난번

비영리 트위터 효과적 활용하기 팁 10가지

5년 밖에 되지 않은 트위터를 많은 비영리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처음 시작했을 때, 조금 황당했으리라 생각이 됩니다. 어떻게, 무엇을, 언제 트윗할까? 팔로어는 어떻게 관리할까? 맞팔은 할까말까? 모두 고민스럽습니다. "소셜 변화를 위한 소셜 툴"을 내용으로

소셜미디어 마케팅은 그 자체로 완전할 수 있을까?

다음 글의 원문은 Social & Media 블로그에서 볼 수 있읍니다. 그동안 여러차례 블로그를 통해 이야기했던 것 같습니다만 아직도 우리에겐 소셜미디어에 대한 환상이 남아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최근 몇년 사이 소셜미디어에 대한 매우 특별하고도 뜨거운 관심이 쏠리다보니

소셜미디어? 그게뭔데!?

미디어는 미디어인데, 소셜한 미디어... 그것이 무엇일까요? 우리에게 익숙한 미디어는 매스미디어인데, "매스" 즉 대중에게 일방향적으로 전달되고 대중은 소비의 대상이되는 미디어였다면, 지금 인터넷이 몰고 미디어는 소셜미디어, 즉 모든 사람이 주인이 되고 연결되는 미디어입니다. 사람과 사람, 사람과 단체,

무료 그룹 문자 어플 활용하기

최근 비영리 분야에서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등 새로운 기술을 적극 도입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Foursquare와 Gowalla 등 위치 기반 서비스(LBS)가 많이 활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단체/그룹 문자가 가능한 그룹 메세지 서비스들이 각광받고 있습니다. 해외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