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티즌의 반응이 뜨거웠던 <e하루616> 캠페인이 진행된 달여 만에

[e하루616 디지털유산어워드 포럼&시상식]으로 여러분을 찾아왔습니다!

 

오랜만의 화창한 하루 였던 7 14(),  
서울시 중구에 있는 NPO지원센터에서는 [e하루616 디지털유산어워드 포럼&시상식] 열렸습니다.

KakaoTalk_20160718_173625055.jpg


‘e하루616 디지털유산어워드 포럼 & 시상식 

지난달 네티즌 추천인단으로부터 추천받은 39개의 사이트  6 16 하루 동안 진행된 네티즌 투표와 
전문 심사위원의 심사를 통해 선정된 네티즌 인기상 1팀과 본상 3팀을 시상하는 자리이자,

디지털 유산 보존에 대한 새로운 논의를 진행할 있는 포럼으로 진행되어습니다. 

 

‘e하루616 디지털유산어워드 시상하며 디지털 유산보존의 훌륭한 사례를 함께 나누는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날의 현장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_DSC0025.JPG_DSC0030.JPG

_DSC0018.JPG_DSC0007.JPG

NPO지원센터 입구에서 다음세대재단의 에뉴얼리포트를 배부해 드리며 여러분을 맞이하였습니다.

일찍이 행사장을 찾아주신 분들이 많으셨는데요!

카드로 제작된 에뉴얼리포트를 구경하시며, 서로 간의 인사와 근황을 나누시는 모습이 보입니다.

 

_DSC0043.JPG_DSC0047.JPG


어느덧 많은 참가자분이 자리를 채워주셔서, 본격적으로 행사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개회식은 다음세대재단의 이현지팀장님의 사회로 진행되었습니다. 재단의 홍보영상을 간단히 시청한 후,

_DSC0061.JPG

방대욱 대표님(다음세대재단) 인사말과 더불어 ‘e하루616 디지털유산어워드 취지를 소개해드렸습니다.



시상식에 앞서 디지털 역사 보존의 중요성, 역사성 주제로
민경배(경희사이버대학교 IT 디자인융합학부교수님의 강연이 진행되었습니다

지식정보는 역사적 과정에서 어떻게 그 기록환경이 변화하였는지, 인터넷 초창기 자료는 왜 소멸되었으며 그 배경은 어떠했는지,

또 정보트러스트 운동과 e하루616 디지털 유산 어워드의 의의등에 대해 함께 알아보았습니다. 


_DSC0077.JPG

_DSC0063.JPG _DSC0081.JPG

 



이어, 이번 행사의 꽃이라고 있는 <e하루616 어워드 시상식> 진행되었습니다.

시상에 앞서 떠한 사이트가 지털 유산보존의 훌륭한 사례로 선정되었는지 

명승은 심사위원님의(벤처스퀘어 대표) 심사평을 듣게 되었습니다.


_DSC0096.JPG

수상은 네티즌 투표로 선정된 네티즌 인기상’ 1팀과 전문 심사위원의 심사를 통해 선정된 본상 3팀에 시상이 진행되었습니다.
시상식이 진행되는 동시에 사이트에 대한 소개가 이뤄졌습니다.


다양성 부문 :
일다
(여성주의를 지지해오면서 여성 문제를 끈기를 갖고 논의해 온라인 여성주의 저널, http://www.ildaro.com)

_DSC0105.JPG

_DSC0124.JPG

공익성 부문 :
PNU
로컬리티아카이브


(부산 지역의 노동사 자료를 공유하는 디지털 아카이브, http://localityarchives.org)

_DSC0143.JPG_DSC0148.JPG

역사성 부분 :
416
기억저장소

(세월호 침몰 사건의 상세한 기록과 304 희생자에 대한 기억과 추억, 살아남은 자들의 미안함이 고스란히 담긴 사이트, http://www.416memory.org)

_DSC0157.JPG _DSC0165.JPG

네티즌인기상 : 416 기억저장소

(네티즌 투표로 선정, http://www.416memory.org)

_DSC0183.JPG

_DSC0190.JPG

다음 세대로 전승할 가치가 충분한 디지털 자원과 사례가 공유될 있었던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

잠시 쉬는 시간에 기념촬영은 필수겠죠!

_DSC0193.JPG 

흥미로운 주제에 관한 발표로 행사가 다시 진행되었습니다.

먼저, ‘디지털 기록 유산, 전자정부를 넘어 주제로 원종관(서울시 정보공개정책과)님의 발표가 진행되었습니다.

현재 서울시는 디지털 기록에 대해 어떤 방향성을 가지고 어떤 사업을 추진 중인지에 대해 현장감 있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_DSC0203.JPG

이어, ‘포스트디지털 시대, 기억의정치와 인문사회학 주제로 

이광석(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교수님의 발표가 진행되었습니다

포스트디지털시대는 어떤 의미이며, 이 시대에서 기록은 어떤 역할을 가지게 되는지, 그리고 대중들에게는 어떤 지혜가 요구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_DSC0229.JPG 

_DSC0232.JPG_DSC0218.JPG

마지막으로, 이소연 교수님의(덕성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주도로 종합토론 질의·응답시간이 진행되었습니다

토론자로는 앞서 발표를 진행해주신 민경배, 원종관, 이광석님을 비롯하여 

설문원(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조민지(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학과) 교수님께서 함께해주셨습니다.

_DSC0243.JPG

_DSC0246.JPG

_DSC0327.JPG


 

이렇게 열띤 토론을 끝으로 [e하루616 디지털유산어워드 포럼&시상식] 종료되었습니다.
바쁜 시간에도 불구하고 참석해주신 여러분들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 전합니다.


이번 e하루616 디지털 유산의 선정되 사이트와 심사내용은 http://eharu616.org/commentaries/31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e하루616 디지털유산어워드 & 포럼은 앞으로 2년마다 진행될 예정입니다. 

2018년에는 또 어떤 사이트들을 만날 수 있을지 벌써부터 기대됩니다. 2년뒤 있을 e하루616 캠페인에서 여러분이 적극적으로 추천해주신다면 올해만큼 유의미한 사이트들을 또 만날 수 있지 않을까요?


지금까지 2016 e하루616 디지털 유산 어워드 & 포럼의 소식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