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세대재단이 운영하는 비영리 오디오 아카이브인 소리아카이브(http://www.soriarchive.net) 에서는 좀 더 풍부한 콘텐츠의 공유를 위하여 제휴한 기관이나 개인이 직접 디지털 오디오 콘텐츠를 올리고,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전환할 계획을 세웠습니다. 그리고 약 2개월의 준비과정을 거쳐 드디어 소리아카이브가 개방형 플랫폼으로 전환하였습니다. (물론 MP3라는 파일 특성상 모든 사람들에게는 개방하기 어려운 법적인 문제들이 있다는 점은 이해해주시리라 생각합니다.) 이제부터 제휴 기관과 단체들에게 시스템 전환에 대한 연락과 운영 매뉴얼을 전달 중에 있으며, 앞으로 더욱더 다양해진 콘텐츠를 만나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2월의 소리아카이브는 풍성한 콘텐츠와 소식이 이어진 한달이었습니다. 먼저 2007년 4월 오픈에 90명의 방문자 수로 시작한 소리아카이브가 약 10달이 지난 지금, 10만명이 넘는 방문자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트렌드 연구소에서 발행된 ‘Hot trend 40’에 다채로운 지식창고로서 소리아카이브가 소개되었을 뿐만 아니라, RSS 서비스 회사인 피쉬의 추천채널에 등록이 되기도 하였습니다. 소리아카이브에서 제공하는 소리가 점차 활발하게 교류되고 있다는 생각에 뿌듯한 한달이었습니다. 오늘은 소리아카이브에서 인기 있는 콘텐츠를 소개하고, 따끈따끈한 업로드 소식들도 전해드립니다. 

<2월의 소리아카이브>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남기심 ‘언어 구조 속의 비밀’ 1강~4강
  9월 10일 : 언어와 자기 확인
  9월 11일 : 언어의 구조적 질서
  9월 12일 : 의미의 세계
  9월 13일 : 언어와 소통
– 전상운 ‘한국 과학기술의 역사’ 1강~3강
– 김치수 ‘문학비평 방법론’ 1강~4강

  10월  1일 : 문학작품과 이론
  10월  2일 : 역사와 구조
  10월  4일 : 문학과 사회
  10월  5일 : 정신과 인간
– 지명관 ‘동북아 역사에 대하여’ 1강~4강
  10월 8일 :  동북 아시아의 과거, 현재, 미래
  10월 9일 :  임진왜란과 동북아시아사
  10월 10일 : 일본인의 아시아 인식
                  (후쿠자와 유키지(福澤諭吉)와 유종렬(柳宗悅)의 경우)
  10월 11일 : 전후의 한일 관계
– 김준호 ‘생태학에서 본 인류의 미래’ 1강~3강
  10월 15일 : 한국 자연의 특성
  10월 16일 : 산성비에 의한 생태계의 훼손
  10월 17일 : 지구온난화의 과거, 현재 및  미래
– 유종호 ‘우리 근대 문학의 이해와 연구’
  10월 22일 : 우리 근대 문학의 이해와 연구를 위하여
  10월 23일 : 시의 해석과 과해석
  10월 24일 : 우리의 현대사를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10월 25일 : 문학과 역사
– 차하순 ‘역사와 현실 사이에서’
  10월 29일 : 동양과 서양(유럽중심주의 비판)
  10월 30일 : 사실과 인식: 역사이론
  11월 1일 : 내적세계의 역사: 형평의 개념
  11월 2일 : 내셔널리즘과 세계화: 현대사의 문제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문가 아카데미
 이명화의 ‘아이들의 성 따뜻하게 바라보기’ 1강~15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역사철학의 이해 
  5강 (1),(2) / 6강 (1),(2)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리로 만난 아프리카 6,7회 방송
우리로 만난 아시아 1,2,3회 방송 (줌마, 아프가니스탄, 팔레스타인)
연휴 특집 ‘귀로 듣는 동화’ : 「자유의 길」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재한줌머인연대 JPNK Radio CHT 1회,2회 방송
  (원어 방송)


사용자 삽입 이미지
CC공유음악 Asian Variations 전곡 수록


사용자 삽입 이미지
화면해설영화 「태풍」(2005)
  곽경택 감독/장동건,  이미연, 이정재 출연



뉴스/연설/회견
 이인제 국회의원, 한명숙 전 국무총리 대선출마선언
 제 17대 이명박 대통령 취임사


<추천 소리아카이브>


이번 소리아카이브에서는 2008년 졸업시즌을 맞이하여 현 애플사 CEO인 스티브 잡스의 스탠포드대 졸업축사를 mp3파일로 제공합니다. 인생의 전환점과 그것을 성공으로 승화시키는 열정이 고스란히 묻어난 연설이라는 평가와 더불어 현재 소리아카이브에서 가장 많이 검색되는 콘텐츠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