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초 시인 민영 선생님의 강연으로 시작 된
소리아카이브 기획특집  <내 문학의 기원>이
 어느새 마지막에 이르렀습니다.  
크기변환_DSC04505.JPG 
마지막을 멋지게 장식해 주신 분은 최근 영화 <은교>를 통해 더욱 주목 받는
“영원한 청년 작가” 박범신 선생님이셨습니다. 
크기변환_DSC04507.JPG 
이번 강연은 연희동에 위치한 서울시 최초의 문화창작공간인 연희문학창작촌에서 개최되었는데요…
오늘 강연을 위해 고향 논산에서 고속버스를 타고 올라오면서
새 옷까지 구입하셨다는 박범신 선생님!!
역시 영원한 청년작가라고 불릴만한 센스를 보여주셨습니다~
 
크기변환_DSC04498.JPG 
1946년 충남 논산에서 태어난 선생님은
1973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여름의 잔해>가 당선되어 등단하셨는데요.
1970~80년대에 <죽음보다 깊은 잠>, <불의 나라> 등 베스트셀러 작품들을 연달아 발표하며, 
수 백만 권 이상의 판매고를 올린 인기작가이기도 합니다.
크기변환_DSC04496.JPG
문학평론가인 이선우님의 주도로 진행 된 대담에서
 박범신 선생님은
고향에서의 근황, 작가가 된 계기 등의 에피소드와 함께,
작품에 담겨 있는 인생의 행복과 불행, 그리고 인간의 근원적인 욕망 등에 대하여 
솔직하고 담백한 이야기들을 전해 주셨습니다. 
크기변환_DSC04501.JPG
또한 이번 강연에서도 전문 배우 분들이 작품을 낭독하는 시간이 있었는데요. 
여러 작품 중에서도 작가의 상상과 경험이 가미된 자전적 소설인 <더러운 책상>을 낭독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크기변환_DSC04515.JPG
최초의 인터넷 소설인 <촐라체>와  e-book 소설인 <은교>의 경우를 통해
본인만의 스타일을 고수하되
새로운 문화와 변화를 받아 들이기 위한 노력의 중요성을 깨달을 수 있었답니다. 
이날의 강연은 선생님의 자작시인 ‘작가’ 의 낭독으로 끝이 났습니다.  
박범신.jpg
다음세대에 전하는 선생님의 메시지를 마지막으로 5회차에 걸쳐 진행된
소리아카이브 기획특집 <내 문학의 기원> 현장 스케치를 모두 마칩니다.
곧 온라인에서 공개 될 각 강연의 소리 컨텐츠에도 많은 관심 부탁 드립니다. ^^
 

관련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