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저희 단체의 내부 커뮤니티가 그누보드에서 zbxe로 바뀌었어요. 처음 그누보드를 도입한 게 2003년이니 벌써 7년째. 정말 오랜동안 함께해온 훌륭한 툴이었죠. 그런 그누보드를 두고 zbxe로 옮겨가게 된 건 여차저차 여러가지 이유가 있었는데요, 그 중 하나가 바로 지금 알려드리려고 하는 스프링노트 연동 기능이었어요. 그런데 관련 매뉴얼을 찾지 못해서 여러번 삽질끝에 겨우 이 기능을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zbxe와 스프링노트를 모두 이용하는 분들께 도움이 될까 하여 그 과정을 올려봅니다.
- 스프링노트 연동 모듈은 zbxe 1.0.5 버전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 개인노트와 그룹노트는 설정방법이 조금 다릅니다.
- 연동 시에는 공개/비공개 문서를 구분하지 않고 모두 읽어들입니다.
- 읽어들이는 기능 이외에 편집 등 기타 기능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 zbxe 자체 위키 프로젝트도 진행중이랍니다.
배경: 스프링노트를 포함한 외부 컨텐츠들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기반이 필요해!
함께하는 시민행동에서는 올해부터 대부분의 온라인 문서작업을 위키 기반으로 진행하기로 하고, 공식 / 비공식 웹사이트를 전반적으로 개편하고 있습니다. 이미 2006년부터 실험적으로 운영해오던 미디어위키를 본격 도입하는 한편 내부 논의안건과 각종 매뉴얼, 기록문서는 서비스형 위키인 스프링노트를 사용합니다. 일부 스프레드시트와 폼 기능 등에는 구글닥스를 써 오고 있었구요, 사진과 음성, 영상 등 멀티미디어 컨텐츠도 각각 외부 서비스를 활용하기 시작했어요. 이른바 클라우드 컴퓨팅…(강하게 비판하는 분들도 계십니다만… 이것은 웹 자체의 속성과도 맞닿은 부분인 듯 합니다. 기술 종속은 그렇다쳐도, 보안 문제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웹에서는 어떤 자료든 해킹/공개될 수 있다는 걸 염두에 두고 활용해야 하지 않을까요?)
그런데 이런 방식이 한계에 부딪힌 것은.. 개인이 아닌 단체여서 더 중요한 문제랄까요. 제때 확인하고 반응해야 할 다양한 컨텐츠가 수시로 오가는데, 여기저기 자꾸 계정이 늘어가다 보니 멤버들이 매번 여러 사이트를 옮겨다니면서 대응하고 업데이트를 해 나간다는 게 쉬운 일이 아닌 거에요. 새로 참여하는 사람들도 혼란스러워하고.. 개인적으로야 rss를 활용할 수도 있겠지만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이 되려면 아무래도 무언가 한 곳에서 모아주고 갈무리해 줄 필요가 있었어요. 그래서 내부 커뮤니티만큼은 가능한 한 확장성과 연결성이 높은 툴을 이용해 다양한 외부 서비스의 rss나 api 를 활용할 수 있었으면 했어요. 다행히 이런 면에서 강점을 지닌 zbxe가 최근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되고 있어서, 게다가 떡하니 스프링노트 연동 모듈이 아예 만들어져 있으니 얼씨구나^^ 반길 수 밖에 없었던거죠.
그림: 스프링노트 연동 모듈이 사용된 zbxe 공식 매뉴얼
그림. 실제 스프링노트에 있는 매뉴얼 모습
헌데 막상 커뮤니티를 zbxe 최신 버전으로 세팅을 하고 데이터를 모두 이전한 뒤 디자인까지 손보아 개편을 해 놓고 보니, 엇. 스프링노트 연동 모듈이 안보이네요. 낭패도 이런 낭패가 없었어요. 알고보니 그 모듈이 예전엔 배포판에 포함되어 있었는데, 공식 모듈이 아니라서 빠졌다고 하더군요. 하지만 모듈 페이지에 가 보아도 별도로 소스가 존재하지 않고.. 결국 약간의 검색 끝에 오래 전 버전에서 이 모듈을 찾아냈습니다.
스프링노트 연동 모듈은 XpressEngine 1.0.5 버전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림: zbxe 사이트에서 XE 오픈 소스 프로젝트 > XE Issuetracker > 다운로드 > 전체보기 > 1.0.5
그리고 현재 위 페이지의 링크는 이렇습니다. http://www.xpressengine.com/?mid=xe_issuetracker&act=dispIssuetrackerDownload
공지를 보니 zbxe 사이트를 조만간 개편할 모양이라 그림과 달리 또 위치가 어떻게 바뀔런지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현재 스프링노트 연동 모듈은 왼쪽 그림과 같이 XpressEngine 1.0.5 버전에서 찾아볼 수 있네요. 상위 버전을 사용 중이라 해도 이 버전을 내려받아 서버의 module 폴더 안에 springnote 폴더만 그대로 업로드하면 됩니다.
그런 다음, 관리 페이지로 접속하면 오른쪽 그림처럼 서비스 모듈에 스프링노트 연동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설치는 간단히 끝이 났구요, 이 스프링노트 연동 메뉴를 클릭하면 모듈을 생성할 수 있는 페이지가 뜹니다. 생성단계에서는 내 스프링노트의 기본 정보를 입력하는데, 몇가지 주의할 것이 있습니다.
개인노트와 그룹노트는 설정방법이 조금 다릅니다.
- 오픈아이디: 해당 노트의 관리자 오픈아이디를 입력합니다. 사용중인 그룹 노트는 처음 만들었던 아이디와 현재 관리자 아이디가 다른데, 현재 관리자 아이디를 입력해야 하더군요.
- 사용자키 받기: 오픈아이디 입력 후 [사용자키 받기]를 클릭하면 인증을 거쳐 코드가 발급됩니다. 긴 암호문 같은 코드를 전체 복사해와 입력합니다.
- 도메인 지정: 그룹 노트인 경우, 이곳에 꼭 도메인을 입력하셔야 합니다. 안그러면 관리자 개인 노트로 연결되어버리거든요.
- 연동 시에 비공개/공개 문서를 구분해주는 기능이 없습니다. 연동할 사이트가 오픈된 공간이라면 유념해야겠지요.
- 읽어들이는 기능 이외에 편집 등 기타 기능은 연동 페이지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대신 바로 스프링노트로 이동할 수 있도록 원문 링크가 제공됩니다.
그림: 스프링노트 연동 페이지 생성 과정
간단한 과정이지만 처음 해보는 거라 삽질을 여러번 했습니다. 특히 관리자 아이디, 그룹노트 지정 때문에요. 그룹노트는 관리자 아이디를 바꿀 수 있기 때문에 헷갈렸고, 도메인 지정이 그룹노트에 해당하는 것인지도 유추할 방법이 없었기 때문에 이런 기능이 가능한지 알아보는 데에 한참 걸렸습니다. 아무튼 이렇게 설정을 완료한 후 모듈을 메뉴에 추가하면 작업이 마무리됩니다.
그림: 이렇게 완성이 되었습니다.
흠, 여기까지 쓰는데 한참 걸렸는데… 역시 정리하고 보니 별 특별할 것이 없군요. 그래도, 행여 삽질이 부담스러워 도중에 그만 포기해버릴지도 모를 누군가에게는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
ps. zbxe에서 자체적으로도 위키 프로젝트를 진행중인 걸로 알고 있는데, 아직 조금 더 시간이 걸릴 모양이더군요. 스프링노트 같은 별도의 서비스를 이용하기가 곤란한 경우, 조금 더 기다려서 그걸 사용하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이미 사용중인 사람들을 위해서는 스프링노트 백업본을 읽어들일 수 있게 개발된다면 더욱 좋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