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공유

다음세대재단은 공익활동에 필요한 비영리 미디어 콘텐츠를 생산 및 유통하는 지식공유허브로
ChangeON.org 사이트를 운영하였습니다. 2010년도부터 시작한 허브 사이트는
소셜미디어, 모바일, 웹서 비스 등 비영리에게 타켓팅 된 다양한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였습니다.

[인터넷리더십 6] 소셜미디어와 소통하기 / 명승은

2011년 4월20-22일 제주 다음클로벌미디어센터에서 진행된 외국인 이주, 노동 운동 리더와 함께 한 제6회 인터넷리더십 프로그램에서 발표한 내용입니다.   인터넷 리더십 프로그램은 인터넷이 단지 홍보의 수단으로서가 아니라 비영리단체의 조직 문화와 비영리 활동가들의 존재 양식, 그리고 활동방식에

아쇼카 펠로우 선발과정: Mining for Great Minds

  사회적 기업에 관심 있는 분이면 아쇼카(Ashoka)라는 기관과 그 창립자인 빌 드레이튼(Bill Drayton)에 대해 한번쯤 들어 보셨을 것입니다. 1981년 처음 설립된 아쇼카는 사회적 기업 분야를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특히 빌 드레이튼은 세계 사회적 기업의

페이스북? 그게뭔데!?

페이스북(Facebook)은 세계적으로 6억명 이상의 액티브 사용자를 자랑하는 세계 최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입니다. 만일 페이스북 국가라면 중국과 인도 뒤를 이어 3위를 기록할 것입니다. (2011년 2월초 통계) 페이스북 기능의 심장에는 기본 화면에서 나와 친구 관계를 맺은 사람들과

제6회 인터넷리더십 프로그램 강연 영상 공개합니다.

지난 4월20-22일 진행된 제6회 인터넷리더십 프로그램 강연 동영상을 공개합니다. 많은 참고 되시길 바랍니다 ^^     1. 기조 강연: 외국인 이주노동 활동과 소통 - 김현미 교수 (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         2. 새로운 소통의

페이스북 VS 트위터, 누가 더 많은 방문자를 가져다줄까?

최근에 개인적으로 강연을 다니면서 페이스북의 무서움(?)에 대해서 이야기를 많이 하고 있습니다. 페이스북 소셜플러그인, 특히 라이크(like) 버튼을 통해 페이스북으로 공유되는 컨텐츠가 점점 많아지고.. 페이스북에 공유된 링크를 통해 해당 웹사이트의 트래픽도 늘어간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의미

아이패드는 장애인에게 얼마나 친절할까

다음 글의 원문은 Bloter.net 이희욱님 / 우공이산 블로그에서 볼 수 있으며, 다음 크리에이티브 커먼스 라이센스 적용하셨습니다. 스마트폰 1천만 시대다. 아이폰이나 안드로이드폰, 아이패드나 갤럭시탭 같은 ‘스마트 기기’들 덕분에 삶이 편리해졌다고들 말한다. 헌데 장애인에게도 이 말은 똑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