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요 비영리 기관의 소셜미디어 활용 인포그래픽 소개

비영리의 규모가 크거나 순수익이 많다면 그에 따른 소셜미디어 참여율도 가장 높을까요? 만약 그렇다면 소셜미디어의 활용은 과연 효과적이었을까요? 이러한 의문에 대해 craigconnects.org의 설립자인 Craig

비영리의 소셜 네트워킹 활용 실태에 관한 NTEN의 조사 결과

“비영리의 소셜 네트워킹, 뭔가가, 일어나고 있다?” ChangeOn의 파트너 기관인 NTEN (http://www.nten.org)에서 지난 1~2월 ‘비영리 소셜 네트워킹 활용실태에 관한 조사’를 진행하였습니다. 이 조사에는

The Networked Nonprofit 도서 정보

비영리 소셜미디어 전문가인 Beth Kanter의 책이 8월에 번역이 되어 한국에 소개가 된다고 합니다. ChangeON에서도 Beth Kanter가 소개한 "비영리 조직의 소셜미디어 활용 능력에

비영리 목적으로 제작된 무료 앱 12선

원산지 위반, 위생상태불결 등으로 행정처분을 받은 업소를 소비자에게 알려주는 어플리케이션. 소비자들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확인하여 실생활에 도움이 되고자 개발되었습니다. 자치

비영리 페이스북 활용 팁 3개

페이스북은 현재 가장 많은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거대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입니다. 페이스북은 사람과 사람, 사람과 비영리 조직을 연결시키는데 있어 가장 효율적인 도구로

2011 NTEN 비영리 테크놀로지 컨퍼런스

북미와 세계 각국에서 비영리 IT에 대해 논의하고, 학습하고, 네트워킹하는 <2011 NTEN 비영리 테크놀로지 컨퍼런스>에 ChangeON.org에서 다녀왔습니다. 3월17-19일 미국의 수도 워싱턴에 개최되었고 10년

비영리에게 페이스북의 가치는?

페이스북을 계속 쓰면서 뭔가 모로게 끈끈함을 느끼게 있습니다. 쓰면 쓸 수로 빨려 들어가는 부분이 있는데, 이를 Harvard Business Review에서 올린 기사 페이스북,

페이스북 비영리 모금 성공 사례 5가지

한국에서도 페이스북의 사용자들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비영리도 페이스을 통한 참여 및 기부를 고려할 수 있을 때가 멀지 않은 것 같습니다. 한국에는 트위터를 사용한

2011년 비영리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전략은?

Non Profit Marketing Guide에서 2010년 12월 미국 비영리 기관 780개를 상대로 실시한 설문 조사 보고서가 나왔습니다.  보고 결과를 요약하면, 비영리들은, 51% 비영리

아이티 지진 1주년: 인터넷으로 달라진 구호활동

아이티 지진 사태가 일주년 입니다. 세계에 여러 재난들이 있지만 아이티 지진 사태에 대한 신속한 대응에는 많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기술들이 도움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