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 대 협업 / 클레이 셔키
앞날을 예견한 2005년의 연설. 클레이 셔키는 조금씩 기여하는 이들이 큰 역할을 해내고 유동적 협력이 경직된 계획들을 대체하는 '느슨한 네트워크'가, 어떻게 폐쇄적 집단과
앞날을 예견한 2005년의 연설. 클레이 셔키는 조금씩 기여하는 이들이 큰 역할을 해내고 유동적 협력이 경직된 계획들을 대체하는 '느슨한 네트워크'가, 어떻게 폐쇄적 집단과
트위터는 아주 짧은 메세지와 즉각적인 만족감이 있는 소규모 무리의 라이프캐스팅으로 통신수단을 바꾸었습니다. 공동창업자 Evan Williams는 사용자들로 부터 배우고, 사용자들이 그의 비지니스를 앞으로
TED 컨퍼런스에서의 빌게이츠의 강연 동영상입니다. MS라는 회사나 IT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빌게이츠가 벌이고 있는 공익 사업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출처 URL : http://dotsub.com/view/1054a5eb-c3e1-4bc8-b890-25c20c33368d
CCL(Creative Commons License)에 대해 들어보셨는지요? 아마 최근에는 알고 계신 분들이 많을 듯 한데요. CCL을 이용하면 손쉽게 자신의 콘텐츠에 이용허락을 할 수 있습니다. ITcanus의 저작권
구글 전문 블로거로 유명한 필립 렌쎈이 흥미로운 웹사이트를 열었다. 렌쎈은 2월17일 니콜라이 코르둘라, 도미닉 슈미트 등과 함께 ‘스케초리‘(Sketchory)란 웹사이트를 연다고 블로그를 통해
한글과컴퓨터의 '아래아한글'로 작성한 문서에 손쉽게 CCL을 달 수 있는 길이 열렸습니다. 한글과컴퓨터가 '한컴 오피스 2007'에 CCL 메뉴를 추가하는 등 주요 기능들을 개선한
올블로그에서 PaperinZ 블로그를 본 후에 시민단체들이 이용할만한 정말 괜찮은 웹사이트가 있어서 소개하려고 합니다. 아래 글을 보지 않고 PaperinZ 블로그 글을 보셔도 상관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Creative Commons Korea, 이하 'CC코리아')가 12월15일 '호프데이'(Hope Day)를 개최합니다. 호프데이는 창작과 나눔으로 모두가 함께하는 열린 문화를 만들어나가는 CC코리아가 마련한 특별한
전통적인 음반회사는 앨범을 판매한 돈으로 먹고 살았다. 휴대폰 벨소리나 블로그 배경음악 등 음원을 소비하는 방식이 다양해졌다고는 하지만, 음반회사들이 앨범 판매라는 전통 수익모델을
코펀드오에스(Cofundos.org)는 혁신적인 오픈소스SW 개발을 위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이를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설립된 오픈소스SW 기반 협업 공동체다. 모든 프로젝트는 공동체 내부에서 협업으로 이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