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영리에도 필요한 “콘텐츠 마케팅”
마케팅 영역에서 활동하시는 분들이라면 '콘텐츠 마케팅'이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거나 관심 갖고 지켜보실테지만 비영리 영역에는 다소 생소한 개념입니다. 하지만 놀라운 것은 이 개념이
마케팅 영역에서 활동하시는 분들이라면 '콘텐츠 마케팅'이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거나 관심 갖고 지켜보실테지만 비영리 영역에는 다소 생소한 개념입니다. 하지만 놀라운 것은 이 개념이
2014년 3월 초인 최근 페이스북 데스크탑의 뉴스피드 레이아웃 디자인과 페이스북 페이지의 레이아웃 디자인이 변경되었습니다(아직 모든 계정에 일괄 적용된 것은 아니고, 사용자에 따라
세계적인 비영리 기술 네트워크인 NTEN(The Nonprofit Technology Network)이 매년 주최하는 비영리 테크놀로지 컨퍼런스가 2014년에도 열립니다. 다음세대재단은 NTEN과 글로벌 파트너십을 맺고 국내 비영리에
비영리의 의사소통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요소인 소셜미디어, 위치나 지위에 관계없이 누구나 자신만의 컨텐츠를 제작하고 공유하기에 더 없이 좋은 환경이라 할 수
온라인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웹 서비스와 클라우드 저장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몇가지 유용한 서비스들은 무료로 제공되기도 하는데요, 비영리 단체가 문서 작성을
온라인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웹 서비스와 클라우드 저장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몇가지 유용한 서비스들은 무료로 제공되기도 하는데요, 비영리 단체가 문서 작성을
기관이든 개인이든 잘 소통하기 위해서는 분명한 목표, 효과적인 매체 등에 이해 등 기초체력이 튼튼해야겠죠? 그래서 이번에는 체인지온 독자 여러분들께 2014년의 비영리 커뮤니케이션 트렌드에 관한
인터넷을 통해 전세계의 사람들이 연결되면서, 인터넷 네트워크가 세계의 두뇌(World Brain)역할을 넘어 글로벌 마인드(Global Mind)로 발전해갈 것이라는 예측이 있다고 합니다. 인터넷, 기계, 네트워크,
2012년 비영리 조직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 및 활용도 조사에 따르면 평소에 활발하게 대내 소통을 하는 단체가 대외 소통에 있어 더 적극적이며 온라인
2014 소치 동계 올림픽 김연아 선수의 경기 결과가 아쉽게 은메달로 끝나고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소셜미디어에서는 심판과 러시아에 대한 비판적인 글들이 부글부글 끓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