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마로님께서 이야기해주신 웹표준화를 읽다가….
웹표준화는 좀더 광의의 개념이겠죠. 자료를 찾다보니 [웹접근성 표준화]라는 말도 있던데 웹접근성 표준화가 마로님께서 예로 든 두가지 경우가 아닐까 싶어요. 
(나중에 웹표준화에 대해 신비님과 개발자님께서 잘 설명해주시기를 부탁 ^^)
웹접근성 연구소(http://www.iabf.or.kr/Lab/)라는 곳이 있는데 이곳 홈페이지에서 설명하고 있는 웹접근성은 이렇습니다.
웹접근성은 장애인, 저사양 컴퓨터 사용자, 저속 회선 사용자, 노인, 리눅스, 텍스트 브라우저 사용자 등 신체적, 환경적 조건에 관계없이 웹에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입니다.
[인터넷 웹콘텐츠 접근성 지침]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 지침은 한국 정보통신접근성향상표준화포럼 산하 웹접근성분과위원회가 주축이 되어 제안하는 것으로 국제 표준화 기구인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의 WAI(Web Accessibility Initiative)에서 1999년 5월 제정한 웹 콘텐츠 접근성 가이드라인(WCAG :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1.0)과 WCAG 2.0 초안 (2003년 6월 24일판)을 참고하였으며, 부분적으로 미국 재활법 508조를 참고하여 작성한 것이다. 특히 제정시점을 기준으로 국내의 웹 환경 및 관련 보조기술의 실태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표준(안)을 마련하였다고 합니다.
웹접근성 연구소에 따르면 이 지침을 제정하는 가장 큰 목적은 웹 콘텐츠에 접근하려는 모든 사람들이 어떤 컴퓨터나 운영체제, 또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사용하든지, 또는 어떠한 환경에 처해 있는지에 구애받지 않고 접근할 수 있는 웹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자료는 아래에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경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2023 체인지온@공룡] 현장, 연결되는 말들의 장소](https://changeon.s3.ap-northeast-2.amazonaws.com/wp-content/uploads/2024/01/18210211/2023_%EC%B2%B4%EC%9D%B8%EC%A7%80%EC%98%A8%40%EA%B3%B5%EB%A3%A1_%ED%9B%84%EA%B8%B0_%EC%9D%B4%EB%AF%B8%EC%A7%8006%EC%A7%88%EC%9D%98%EC%9D%91%EB%8B%B5.jpg) 
		![[2022 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 내 일에서 나를 찾다: 소프트 스킬편](https://changeon.s3.ap-northeast-2.amazonaws.com/wp-content/uploads/2023/02/15142048/52690219269_ed62c892ff_k.jpg) 
		![[2022 체인지온@공룡] 공동체와 미디어의 경계 넘기](https://changeon.s3.ap-northeast-2.amazonaws.com/wp-content/uploads/2023/02/15150353/52689473627_a2c329d30f_k.jpg) 
		![[체인지온@] 2017 체인지온@공룡 후기](https://changeon.s3.ap-northeast-2.amazonaws.com/wp-content/uploads/2017/11/24144136/13-e1511504182487.jpg) 
		![[체인지온@] 2017 체인지온@GNTECH 강연 영상 및 자료](https://changeon.s3.ap-northeast-2.amazonaws.com/wp-content/uploads/2017/09/28110833/imageDesktop-009.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