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공유

다음세대재단은 공익활동에 필요한 비영리 미디어 콘텐츠를 생산 및 유통하는 지식공유허브로
ChangeON.org 사이트를 운영하였습니다. 2010년도부터 시작한 허브 사이트는
소셜미디어, 모바일, 웹서 비스 등 비영리에게 타켓팅 된 다양한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였습니다.

“장애인 웹 빗장 풀자”…BBC ‘마이디스플레이’

다음 글의 원문은 Bloter.net 이희욱님 / 우공이산 블로그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인터넷 이용자는 다양하다. 이들 모두가 화면을 제대로 보고 판독하는 건 아니다. 난독증이나 주의력결핍증이 있는 사람이라면 웹사이트 콘텐츠를 읽기 불편하다. 저시력자나 시각장애인은 비장애인보다 웹에 접근하기

크라우드 펀딩: 웹2.0시대의 네티즌 펀드?

다음 글의 원문은 DIGXTAL 블로그에서 볼 수 있습니다. 킥스타터(Kickstarter)가 많은 프로젝트들에 대한 펀딩을 성공적으로 이끌면서,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 사이트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수많은 유사 사이트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전에도 네티즌 펀드라는 것이 있었는데, 투자자의 수익 확보를

내 도메인으로 ‘다음메일’ 무료로 쓴다

많은 비영리 단체/기관이 홈페이지와 도메인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명함을 받으면, 한메일이나 무료 메일 도메인의 주소를 활용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경우 2가지 단점이 있습니다: 단체의 이미지상 신뢰가 떨어집니다. 인원이 퇴사하는 경우, 메일로 연락해온 업무가 차질이 있습니다. 이제 단체

온라인 기부 문화 트랜드: Online Giving Study

2010년 12월 출간된 거대한 온라인 기부문화 보고서인 Online Giving Study는 미국의 온라인 기부문화의 변화에 대한 자료를 제공해줄뿐 아니라, 기관과 기부자와의 관계를 새로이 개편되어야한다는 분명한 메시지가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Network for Good와 TrueSense Marketing이 주관한 이 보고서는

전자책의 종이책 압도현상이 본격적으로 일어나는 미국시장

지금으로부터 정확히 1년전에 “미국의 베스트셀러는 얼마나 많이 E-Book으로 존재할까?”라는 블로그포스팅을 쓴 일이 있다. 킨들이야기를 트윗하면 “실제로 미국에 전자책이 그렇게 많이 나와있냐”는 질문을 하시는 분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당시는 아이패드첫버전이 발매된지 정확히 3주가 되는 시점이었다. 킨들도 성공적으로

[인터넷리더십 6] 온라인 모금 성공 키워드 10가지 / 육심나

2011년 4월20-22일 제주 다음클로벌미디어센터에서 진행된 외국인 이주, 노동 운동 리더와 함께 한 제6회 인터넷리더십 프로그램에서 발표한 내용입니다. 인터넷 리더십 프로그램은 인터넷이 단지 홍보의 수단으로서가 아니라 비영리단체의 조직 문화와 비영리 활동가들의 존재 양식, 그리고 활동방식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