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공유

다음세대재단은 공익활동에 필요한 비영리 미디어 콘텐츠를 생산 및 유통하는 지식공유허브로
ChangeON.org 사이트를 운영하였습니다. 2010년도부터 시작한 허브 사이트는
소셜미디어, 모바일, 웹서 비스 등 비영리에게 타켓팅 된 다양한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였습니다.

인터넷에서 살아남기(4,5,6) : 수평적 네트워크를 지향한다는 것의 의미

4. 광장형 홈페이지가 성공한다.성공했던 홈페이지들을 떠올려보자. 안티닉스 사이트, 두발제한반대사이트, 노사모사이트 등등. 공통점을 찾아보면 '광장성'이 매우 강하다는 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廣場이 무엇인가? 도심에 존재하는 공공적인 공간인 광장은 시민들의 생활의 중심지이자 정치, 상업, 사교 등이

블로그와 시민운동(16) : 마지막 결론을 대신하여

미래의 사회에서는 개인의 힘이 점점 더 거세어질 것이나,현재는 이러한 개인들의 다양성을 수용할 수 있는기반 자체가 없다. 우리는 이러한 생태계의 생성을 선도하며개인이 주체가 되는 사회에서의 참여의 장을 공급하며그들과의 신뢰관계 형성을 통해 정정당당한 미래를 열어나간다.위 글은 제가

블로그와 시민운동(15) : 풀뿌리 미디어로서의 블로그

블로그 포스트는 독자투고입니다. 블 로그는 풀뿌리 미디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신문 한 구석을 차지하고 있는 독자투고를 알고 있습니다. 독자 투고는 미처 기사에서 다루지 못했지만 충분한 메시지를 가지고 있는 독자의 글을 배치하는 공간입니다. 한겨레신문은 독자투고를

블로그와 시민운동(13) : 블로그와 조직문화

출처 : www.goodhyun.com블 로깅을 하는 이유는 사람마다 다릅니다. 어떤 사람은 자신이 속한 조직이 원하기 때문에 억지로 블로깅을 합니다. 어떤 사람은 같이 일하는 사람들에게 철저히 숨기고 블로깅을 합니다. 그리고 자기가 정말 좋아서 블로깅을 하는데 그게 자연스럽게

블로그와 시민운동(12) : 다양한 여론과 본질을 발견하는 곳, 메타사이트

개인적으로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생긴 변화 중의 하나를 꼽자면 이제는 더 이상 사회적 이슈에 대한 글을 언론사 홈페이지나 포털 사이트에서 잘 보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간혹 사설이나 칼럼을 읽기는 하지만 하나의 이슈에 대한 대중들의 입장을 파악하는데 있어

블로그와 시민운동(11) : 공동취재 네트워크, 이슈트랙백

앞서 트랙백에 대해서는 자세히 이야기 드린 적이 있습니다. 간단하게 다시 설명을 하자면 트랙백은 A라는 글에 관련이 있는 글을 쓰고 이를 A라는 글을 쓴 사람에게 알려주는 기능입니다. 이슈트랙백이란 트랙백 기능을 이용하여 특정 주제에 관한 네티즌들의 의견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