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공유

다음세대재단은 공익활동에 필요한 비영리 미디어 콘텐츠를 생산 및 유통하는 지식공유허브로
ChangeON.org 사이트를 운영하였습니다. 2010년도부터 시작한 허브 사이트는
소셜미디어, 모바일, 웹서 비스 등 비영리에게 타켓팅 된 다양한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였습니다.

Twitter 사용자들로 부터 배운 것들 / Evan Williams

 트위터는 아주 짧은 메세지와 즉각적인 만족감이 있는 소규모 무리의 라이프캐스팅으로 통신수단을 바꾸었습니다. 공동창업자 Evan Williams는 사용자들로 부터 배우고, 사용자들이 그의 비지니스를 앞으로 이끌어 나갔던 방법들에 대한 놀랄만한 것들을 공개합니다. (View subtitles에서 자막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트위터 서비스를 쉽게 소개해주는 글 2개

트위터를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글 두개를 추천해드립니다. 두려움없이 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는 글이 아닐런지요...트위터 서비스 입문서 : http://moonsongsoo.blogspot.com/2009/05/blog-post_13.html트위터의 모든 것 : http://channy.tistory.com/352

이제 특종은 기자의 전유물이 아니다.

<김주환/김훤주의 지역에서 본 세상> 블로그에 올라온 글인데요. 경남 지역에서 활동하고 계신 시민사회단체 활동가분의 한 예를 통해 말씀하고자 하는 것은 바로 이것입니다. "기자에게 보다자료를 왜 줘? 내가 쓰지..." ... 블로그는 기존 언론을 통하지 않고, 사람들에게 직접

Twitter & Activist Network에 관한 슬라이드 자료

풀뿌리SNS프로젝트를 시작해봅시다라는 제안을 드린 이후로 풀뿌리단체나 시민사회단체를 포함한 비영리단체에서 일하시는 분들 약 40여분 정도가 트위터에서 관계를 맺고 이야기를 나누고 있습니다. 열심히 하시는 분도 계시고, 초반에 잠깐 들어오셨다가 익숙치 않아서인지 곧바로 자취를 감추신 분도 계시지만 작지만

트위터에 문자로 글쓰는 방법 – 미투와 연동하기

얼마 전에 풀뿌리SNS프로젝트를 시작해보자는 제안을 드린 적이 있습니다. 트위터(Twitter)에서 풀뿌리/시민사회 활동가들이 서로 관계를 맺고, 일상적으로 정보를 교환하고 대화를 나누자는 취지였는데요. 우선은 그동안 알고 지냈던 분들을 중심으로 시작을 해보고 있는데 일주일만에 저는 상당히 의미있는 모습들을 보고

추천하고 싶은 뉴미디어 서적 5선

이 글은 블로그 관련 도서 추천을 부탁한 글에 대한 답변이기도 합니다. 비영리단체에서 활동하시는 분들이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네트워크 세계와 뉴미디어 환경의 변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만한 책들을 순전히 개인적인 취향과 경험을 바탕으로 선정해봤습니다. ^^ 뉴미디어 관련한 스터디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