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인지온@] 2019 체인지온@미디토리 2일차 후기
<본 글은 이번 행사를 주최한 <미디토리>가 직접 작성한 후기 입니다.> 새로운 나를 발견하는 커뮤니티 플랫폼 - ‘영화, 철학, 공간’에서 발견한 힘 - 올해 체인지온@미디토리에서는 ‘커뮤니티’를 새로운 관점으로 재정의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고 싶었습니다. 미디토리의 설립목적도 시민 또는 커뮤니티의 미디어 활용과 제작지원 활동에서 출발했습니다. 9년 전, ‘공동체’로 더 많이 떠올렸던 그 때의 ‘커뮤니티’는 구성원(주체)이나 범주-사업모델, 조직형태에 따라 더 세분화되기도 하고 확대되기도 한 것 같습니다. ‘커뮤니티’라는 가깝고도 먼 실체! 그것이 알고싶다. 혼자이고 싶지만 혼자이고 싶지않은 사람들, 나만의 취향과 개성을 중요시하면서도 이름모를 누군가와 공유하고 싶은 마음, 책을 읽는 것은 결국 개인이지만, 모여서 읽고 싶은 사람들 위한 유료회원제의 독서모임… ‘관심’에서 출발하여 ‘관계’로 이어져 지속적으로 뭔가를 만들어가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들의 활동을 지원해주는 공간이나 지원사업, 자체적인 펀딩 시스템, 사회적경제조직으로 지속가능한 대안을 찾고자 하는 흐름이 부산에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올해는 비영리/공익섹터에서 관계 혹은 관계맺기의 힘으로 새로운 문화를 생산하는 온/오프라인 플랫폼 사례를 찾아보았습니다. 체인지온@미디토리 둘째날 행사가 열린 리워크협동조합의 공간 '리크로스' (페이스북 페이지 https://www.facebook.com/recrosscoworking/)거리를 좁히고 관계를 넓힐 수 있는 공간! 최근 몇 년동안 ‘컨퍼런스’라는 형식이 주는 거리감에 대해 고민이 많았습니다. 올해는 더이상 고민하지말고 물리적 조건을 과감히 변경하고 그에 맞춰 형식에 변화를 주려 애썼는데요. 그 결과 기존 120명 규모의 공간을 그 절반에 해당하는 공간으로 과감히 변경하고, 하루가 아닌 이틀 동안 미디토리가 만나고 싶은, 혹은 올해의 화두에 공감해주시는 분들을 조금 더 가깝게 만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올해 미디토리와 함께 컨퍼런스를 만들어간 두 기관은 이러한 커뮤니티의 활동을 위한 사람과 모임공간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는 곳이라 더욱 의미있고, 주제가 빛날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체인지온@] 2019 체인지온@미디토리 1일차 후기
<본 글은 이번 행사를 주최한 <미디토리>가 직접 작성한 후기 입니다.> 2019 체인지온@미디토리 첫째날 후기 (스압주의 *.*;;) 부산 공공 크리에이터들 한자리에 모이다 ‘생존’ 혹은 ‘공존’ 2019년 비영리미디어컨퍼런스 체인지온@미디토리가 지난 가을에 열렸습니다. (후기를 쓰려고 정신차려보니 어느새
[2019 체인지온] ‘다양성을 안고, 두려움을 딛고, 익숙한 질서를 넘어’ 강연 영상 및 자료
지난 2019 년 11월 26일(화)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 실사구시관에서 개최된 2019 체인지온 컨퍼런스 ‘다양성을 안고, 두려움을 딛고, 익숙한 질서를 넘어’의 강연 영상 및 발표 자료, 그리고 J비주얼스쿨 정진호 대표가 강연 내용을 요약한 이미지를 공유합니다! - 그
[2019 체인지온] 추천 도서 10권 소개
2019 체인지온이 끝난지 한달이 다 되어 갑니다. 여러분 모두 매일매일 체인지온 하고 계시는지요? 다음세대재단은 여러분들에게 추천 도서 10권을 소개 해드리고자 합니다. 2019 체인지온 컨퍼런스 연사 7명과 다음세대재단 방대욱 대표이사가 추천한 10권의 도서로 '다양성을 안고, 두려움을
[2019 체인지온] 11월 26일 컨퍼런스 후기
안녕하세요? 다음세대재단 체인지온 담당 매니저입니다. '전지적 담당매니저 시점'에서 2019 체인지온 컨퍼런스 이야기를 들려 드리고자 합니다. 이 후기가 참가자 여러분들분에게는 그 때의 감동을 다시 한번 떠올리게 하고, 참가하지 못했던 분들은 현장의 분위기를 조금이나마 느끼고 다음 참가를
[체인지온@] 2019 체인지온@ 기획워크숍 후기
2019년 6월 4일 화요일, 다음세대재단 체인지온 사업팀은 체인지온@ 기획워크숍을 진행하였습니다. 워크숍 참가를 위해 부산 미디토리, 대전 벌집, 진주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청주 생활공동체 공룡, 원주영상미디어센터 모두 소속 담당자분들이 서울에 모였습니다. 기획워크숍의 목적은 각 기관의 근황을 나누고 201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