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다음세대재단

This author has not yet filled in any details.
So far 다음세대재단 has created 1177 blog entries.

[체인지온@] 2019 체인지온@미디토리 2일차 후기

<본 글은 이번 행사를 주최한 <미디토리>가 직접 작성한 후기 입니다.> 새로운 나를 발견하는 커뮤니티 플랫폼 - ‘영화, 철학, 공간’에서 발견한 힘 -     올해 체인지온@미디토리에서는  ‘커뮤니티’를 새로운 관점으로 재정의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고 싶었습니다. 미디토리의 설립목적도 시민 또는 커뮤니티의 미디어 활용과 제작지원 활동에서 출발했습니다. 9년 전, ‘공동체’로 더 많이 떠올렸던 그 때의 ‘커뮤니티’는 구성원(주체)이나 범주-사업모델, 조직형태에 따라 더 세분화되기도 하고 확대되기도 한 것 같습니다.   ‘커뮤니티’라는 가깝고도 먼 실체! 그것이 알고싶다.  혼자이고 싶지만 혼자이고 싶지않은 사람들, 나만의 취향과 개성을 중요시하면서도 이름모를 누군가와 공유하고 싶은 마음, 책을 읽는 것은 결국 개인이지만, 모여서 읽고 싶은 사람들 위한 유료회원제의 독서모임… ‘관심’에서 출발하여 ‘관계’로 이어져 지속적으로 뭔가를 만들어가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들의 활동을 지원해주는 공간이나 지원사업, 자체적인 펀딩 시스템, 사회적경제조직으로 지속가능한 대안을 찾고자 하는 흐름이 부산에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올해는 비영리/공익섹터에서 관계 혹은 관계맺기의 힘으로 새로운 문화를 생산하는 온/오프라인 플랫폼 사례를 찾아보았습니다.

[체인지온@] 2019 체인지온@미디토리 1일차 후기

<본 글은 이번 행사를 주최한 <미디토리>가 직접 작성한 후기 입니다.>   2019 체인지온@미디토리 첫째날 후기 (스압주의 *.*;;) 부산 공공 크리에이터들 한자리에 모이다

[2019 체인지온] ‘다양성을 안고, 두려움을 딛고, 익숙한 질서를 넘어’ 강연 영상 및 자료

지난 2019 년 11월 26일(화)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 실사구시관에서 개최된 2019 체인지온 컨퍼런스  ‘다양성을 안고, 두려움을 딛고, 익숙한 질서를 넘어’의 강연 영상 및

[2019 체인지온] 추천 도서 10권 소개

2019 체인지온이 끝난지 한달이 다 되어 갑니다. 여러분 모두 매일매일 체인지온 하고 계시는지요? 다음세대재단은 여러분들에게 추천 도서 10권을 소개 해드리고자 합니다. 2019

[2019 체인지온] 11월 26일 컨퍼런스 후기

안녕하세요? 다음세대재단 체인지온 담당 매니저입니다. '전지적 담당매니저 시점'에서 2019 체인지온 컨퍼런스 이야기를 들려 드리고자 합니다. 이 후기가 참가자 여러분들분에게는 그 때의 감동을

[체인지온@] 2019 체인지온@ 기획워크숍 후기

2019년 6월 4일 화요일, 다음세대재단 체인지온 사업팀은 체인지온@ 기획워크숍을 진행하였습니다. 워크숍 참가를 위해 부산 미디토리, 대전 벌집, 진주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청주 생활공동체 공룡,

[체인지온@] 2018 체인지온@GNTECH 강연영상 및 자료

2018년 10월 6일.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내동캠퍼스 1층 울림홀에서 체인지온@GNTECH이 열렸습니다. 대학에서 진행하는 행사 답게 주제를 '교육'으로 정했고 교사와 학부모들이 많이 참여해주었습니다.교사들이 아이들의 성장을

[체인지온@] 2018 체인지온@공룡 강연영상 및 자료

2018년 11월 2일과 3일 양일 간 생활교육공동체 공룡의 마을까페 이따에서 체인지온@공룡이 열렸습니다. 이번 행사의 주제는 '변화를 위한 미디어, 변화를 기획하고 연결하는 사람들'

[체인지온@] 2018체인지온@벌집 강연영상 및 자료

2018년 10월 6일 대전. 공유공간 벌집에서 '공동체가 만든 일상의 변화'를 주제로 체인지온@벌집이 진행되었습니다. 청년들이 모이는 하나의 '공간'일 뿐만 아니라 '문화' 그 자체로

[체인지온@] 2018 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 강연영상 및 자료

2018년 11월 16일. 원주영상미디어센터 극장에서 '왜 그땐 잘 안됐을까?'를 주제로 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가 열렸습니다. 축제와 공연 등 청년들이 참여하는 행사를 기획하는 사람들이 시작과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