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c2c25946a588d51411db5ea6cded2db.jpg

마이크로소프트가 연초 발표한 ‘IT 트렌드 2011‘에 의하면, 올해의 주요 이슈는 비즈니스 플랫폼으로서의 SNS,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자중심 웹서비스 등 이라고 합니다. 특히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는 ‘웹 접근성’은 2013년 부터 모든 법인체가 의무적으로 준수해야 할 정도로 매우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인데요.

스마트폰과 태블릿PC가 급격하게 대중화 되면서 이러한 웹 접근성의 개선에 대한 기대와 노력들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는데요. 이러한 웹 접근성의 향상을 위한 방법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현재 진행되고 있는 노력들과 프로그램들을 체인지온에서 간략하게나마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1. 시각장애인을 위한 스크린리더(Screen Reader)

b4aeb50d918bddf9ec04073ef2846d2b.jpg

화면의 내용과 자료를 음성으로 설명해주는 ‘스크린리더’는 시각장애로 인해 컴퓨터 사용이 어려운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스크린리더는 DOS시절 부터 사용되었을 정도로 역사가 오래되었는데요. 과거의 스크린리더가 하드웨어 방식의 TTS(Text To Speech)였던데 반해, 현재의 스크린 리더는 소프트웨어 방식의 TTS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국내의 경우, 실로암시각장애인복지관에서 개발하여 보급하는 스크린리더인 드림보이스(Dream Voice)가 대표적인데요.국비지원을 통해 시각장애인의 신청을 받아 무료로 보급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더불어 시각장애인 벤처기업 1호인 (주)엑스비전테크놀로지의 센스리더도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를 통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스크린리더 프로그램입니다.

2. 소리로 스마트폰 활용하기, 보이스오버(Voice Over)

스마트폰 중 아이폰을 이용해 활용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음성지원 서비스가 바로 ‘보이스오버'(VoiceOver)’인데요. 스크린리더가 PC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서비스라면, 보이스오버는 모바일을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서비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보이스오버 기능을 비롯한 사용자편의 기능은 <설정-일반-손쉬운 사용>으로 들어가면 활용이 가능합니다.   

 8eb0e22fd77b787cf6c5f40e97e8a6ed.PNG  4d16ce74a449858d7803d3385426c9e4.PNG

보이스오버 기능이 켜지게 되면 기존에 한 손가락으로 작동되던 방식이 변경되는데요. 어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를 열경우에는 ‘더블터치’로, 그리고 화면을 이동할 경우에 손가락 3개를 동시에 슬라이드하면서 활용이 가능합니다. 보이스오버를 활용하면 아이폰에서 지원하는 대부분의 기능을 음성으로 들을 수 있어 편리합니다. 디지털적인 소리에 다소 어색함은 있지만, 시각장애인들이 스마트폰을 활용하기에 더 없이 좋은 기능인 것 같습니다.  

안드로이드계열의 스마트폰의 경우 안드로이드마켓을 통해 유료앱을 다운받아 이러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지만, 활용 상의 편의를 위해서는 좀 더 개선이 필요해 보입니다. 

3. 포털은 어떨까?  

467cc6d8502e195520af3bfcaebe4918.jpg 

구글은 검색, G메일, 구글북스 등 여러 서비스에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해 왔는데요. 일례로 유튜브에서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캡션기능이 지원되며, 구굴 북스에 등록된 도서들의 경우도 다양한 언어와 오디오, 그리고 점자까지 지원이 된다고 합니다. 

다음커뮤니케이션의 경우도 시각장애인을 위한 서비스 최적화를 위해 지난 5년간 사용성 테스트를 진행해왔고, 스크린리더를 활용하여 로그인, 카페 가입, 메일 활용 상의 편의성을 높여가고 있다고 합니다. 

장애인들이 큰 무리없이 스마트기기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직도 많은 노력과 개선이 필요하지만, 그래도 곳곳에서 ‘함께하는 삶’을 만들어 가려는 변화는 긍정적인것 같습니다. 장애인들이 스마트기기를 큰 부담과 어려움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날이 더욱 가까워지기를 기대하며, 앞으로 체인지온에서 더 많은 서비스와 프로그램들을 소개해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