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불과 가로10cm, 세로 1cm도 채 되지 않는 포털 사이트들의 검색창은 엄청난 수익을 만들어주는 공간이다. 그 작은 공간 안에 입력되는 수많은 키워드들이 모여서 한국에서만 수천억원의 시장을 만들어내고 있다.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 키워드를 상품으로 판매하는 것에 대해서 비판적인 시각도 있지만 – 여기서는 그런 비판적 시각에 대한 이야기는 일단 접어두고 – 검색 키워드를 이용해서 포털 사이트들은 돈을 벌고, 검색 키워드를 구매한 기업들은 자사 제품의 홍보나 기업 이미지 향상을 위한 마케팅 활동을 펼친다.
예를 들어 현재 Daum의 검색창에서 “삼성”이라는 키워드를 입력해보면 검색결과의 상단에는 현재 삼성 그룹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고맙습니다. 캠페인”의 큼지막한 웹배너가 걸려 있다. 이것 역시 돈을 지불해야 가능한 일일터… 그게 아니라면 서로간의 무형의 제휴를 맺었던가… 삼성과 같은 대기업 뿐만 아니라 수많은 영세업체들도 스폰서 링크나 프리미엄 링크 신청을 통해 광고를 한다. 반면 개인이나 비영리단체의 경우 이런 검색 키워드를 이용한 홍보 활동이 사실상 어렵다. 돈을 지불하면 가능하겠지만 그럴 여력이 있는 개인이나 단체가 얼마나 되겠는가?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해주고, 개인과 비영리단체들이 검색 키워드를 이용해서 포털사이트에서 홍보할 수 있는 서비스가 나왔다. 바로 Daum에서 베타 오픈한 검색쇼! (http://show.daum.net/)
Daum의 검색쇼는 한마디로 이야기하자면 “포털의 검색창과 키워드를 개인적인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무료로 개방한 서비스”이다. 단, 여기에는 단서가 하나 붙는데 검색키워드 앞에 @를 붙여야 한다는 것이다.
어째튼 검색쇼에 대해 살펴보면… (자세한 내용은 검색쇼FAQ를 참고하시길)
1. Daum 아이디 하나당 5개의 검색쇼를 만들 수 있다.
2. 검색쇼 템플릿 : [검색쇼 만들기]를 클릭하면 [검색쇼 템플릿]을 선택할 수 있다. @키워드를 넣었을 때 어떤 결과를 보여줄 것인지를 스스로 만드는 단계이다.
3. 검색어/검색기간 설정 : 적절한 검색어를 선택합니다. 물론 @이 앞에 붙는 검색어여야 한다. (다만, @가 붙지 않는 검색어, 성인/혐오/상업용으로 분류된 검색어, 다른 사람이 등록한 검색어는 등록되지 않는다. 띄어쓰기와 붙여쓰기는 동일하게 적용된다.) 다음으로 자신이 만든 검색결과를 노출할 기간을 선택한데 기간은 최단 10일에서 최장 1년까지 가능하다.
4. 내용 입력 및 스킨 선택 : 이제 앞서 선택한 템플릿의 내용을 채우거나 혹은 자유형을 선택했으면 본인이 만든 검색페이지를 만든다. 링크, 사진, 영상 등록이 가능하다. (다음으로는 내 검색쇼를 네티즌 베스트에 등록할지 여부, 댓글을 사용할지 여부를 체크하면 끝.)
5. 승인절차 : 다음으로는 운영자 승인절차가 필요한데 약 20분 정도 소요된다고 한다. 승인이 안되는 경우는 아래와 같다.
1. 유명한 특정기업(업체)에 대한 게시물은 등록 불가
2. 음란/성인 사이트 링크가 걸려있는 게시물
3. 음란/성인 사진이나 동영상, 텍스트가 게시된 경우
4. 지나친 욕설이나 혐오감을 주는 내용을 담은 게시물
5. 템플릿 내 사진 영역에 사진없이 등록된 게시물
확인해보니 벌써 이와 비슷한 이야기들이 나오고 있다.
http://bloog.kr/entry/다음-검색쇼-No-다음-낚시쇼-Ok
http://itube.tistory.com/entry/다음-검색쇼-키워드-거부-기준이-뭐니
http://sutarbucks.tistory.com/110
http://www.cyworld.com/isadrove/151281
검색쇼에서 예로 나와 있는 것을 2개면 살펴보면 아래와 같이 “@2007동문회” 검색어를 치면 <2007 디자인경영 전공 동문총회>에 관한 검색결과과 맨 위에 뜬다. 이 공간은 당연이 @2007동문회라는 키워드를 선택한 사람이 직접 꾸민 것이다.
아래는 “@여드름청원”이라는 검색어를 입력했을 때의 결과인데 “여드름도 질병입니다. 보험처리해주세요..ㅠㅠ”라는 서명운동에 관한 페이지가 맨 상단에 보여진다.
이상과 같은 두가지 예 말고도 결혼식, 모임, 행사 등을 홍보하는 예들이 하나하나씩 올라오고 있다. 아래의 검색어들을 Daum에서 입력해보면 바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천정주 오미라 결혼이야기
@김민지
@세상에서가장아름다운결혼
@주름
@블러그
@뉴스
시민사회단체의 검색쇼 활용하기
검색쇼를 시민사회단체가 어떻게 이용할 수 있을까?
시민사회단체와 같은 NGO의 경우엔 단체의 큰 행사나 모임, 특정 캠페인, 단체 소개 등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오프라인 공간에서 사람들에게 알려줄 때
“우리 홈페이지에 들어와보시면 알 수 있어요. 우리 홈페이지 주소는 www…..”, “우리가 진행하는 캠페인이 있는데요. 홈페이지의 상단 메뉴에 보시면 참여하실 수 있어요”라고 설명하는 것보다 “Daum 검색에서 @단체명을 쳐보세요”라거나 “@캠페인을 쳐보세요”라고 하는 것이 더 궁금증을 유발할 수 있고, 기억하기 쉬울 수도 있다.
기발한 키워드와 실제 결과를 결합하여 구전효과를 만들어낼 수도 있고, 방문자가 별로 없는 홈페이지 보다 포털 사이트 검색창을 이용한 홍보를 고려해볼 수도 있다. 나중에 이 서비스가 인기를 끈다고 가정하면 대중적인 키워드를 미리 선점하는 것도 할 수 있는 일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도움이 된다고 판단되시면 한번씩들 이용해보시길.
<ps>
참고로 아래는 구글의 인재 채용 광고판이다. 즉, 이 수학문제를 풀어야만 인재채용 사이트로 접근가능하다는 이야기. 난 어떻게 푸는지 모르지만 이 문제를 풀면 7427466391라는 숫자가 나온다고 한다. 그래서 곧 구글 인재채용 사이트는 http://7427466391.com (지금은 열리지 않는다) 이건 하나의 예에 불과하지만 검색키워드도 이렇게 재치있는 방식으로 처리하고, 네티즌들의 관심과 소문을 일으키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아닐까?
예산감시운동이라면 @보도블럭,
후원회라면 @고맙습니다,
참여예산제라면 @가계부,
미디어라면 @진실,
뭐 이런 식이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