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입형 전문 블로그 서비스인 티스토리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티스토리는 다른 가입형 블로그 서비스와 달리 설치형 블로그인 “태터툴즈”를 기반으로 하여 무한 용량과 자유로운 스킨 편집, 데이타 백업 지원, 독립도메인 설정까지 지원함으로써 네티즌들로부터 인기를 얻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티스토리는 현재 1년여의 베타 서비스 기간을 거쳐 정식으로 오프을 했지만 여전히 초대에 의한 회원가입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풀뿌리 단체들과 블로그 네트워크 구축 사업에 함께 하면서 블로그를 새로 운영하고 싶으신 분들에게 티스토리 초대장을 보내드리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여기서는 티스토리를 초대장을 받은 후부터 본인의 블로그를 개설하기까지 과정을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물론 이런 설명 없이도 쉽게 개설하시는 분들이 많겠지만 처음 블로그를 만들어보시는 분들께는 약간의 어려움이 있을지도 모른다 판단하여 간단하게 정리를 해봅니다.

1. 초대메일 확인하기

티스토리 초대장이 이메일로 발송됩니다.
초대장을 신청한 여러분의 이메일을 열어보시면 [OOO님이 tistory.com에 초대합니다]와 같은 제목의 메일을 확인하실 수 있을 겁니다. 이 메일 본문에 있는 [회원 가입하기] 메뉴를 클릭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 블로그 제목과 주소 전하기

[회원 가입하기] 메뉴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나오는데요. 여기에서는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쓸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블로그에 표시할 본인의 필명을 입력합니다.

다음으로는 [블로그 제목]을 적고 – 블로그 제목은 나중에라도 다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블로그 주소]를 입력합니다. 티스토리의 경우 본인 블로그를 만들면 http://블로그주소.tistory.com 으로 표시되는데 블로그 주소는 나중에 수정하기 불가능하니 신중하게 생각해서 적어주세요.

다 적으셨으면 [약관]에 동의를 체크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3. 블로그 레이아웃과 스킨 설정

다음 단계는 블로그 전체적인 레이아웃을 선택하고 – 아래와 같이 1단형, 2단형, 3단형 등이 있습니다. 보통 2단계와 3단계를 많이 씁니다. – 본인의 마음에 드는 스킨을 선택합니다. 레이아웃과 스킨도 나중에 얼마든지 수정할 수 있으니 일단 다음단계로 넘어가셔도 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4. 블로그 개설 끝!

자, 아주 간단하게 블로그가 개설되었죠? 이제 블로그를 쓰시면 됩니다. 티스토리 블로그에 글을 쓰고 운영하는 방법은 약간의 차이가 있긴 하지만 태터툴즈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태터툴즈의 매뉴얼와 간단한 사용법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구요.

5. 기타 티스토리에 대한 내용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나중에 자기 블로그에 접속할 때는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본인의 블로그 주소로 직접 가거나 티스토리 메인 홈페이지에서 접속할 수 있는데 만약 Daum 회원이라고 하면 Daum아이디로만 로그인을 할 수 있습니다.

Daum 회원이 아니라면 본인이 초대를 받은 이메일주소를 아이디로 하여 접속을 하면 됩니다. 만약 한메일(hanmail.net) 아이디를 이미 가지고 계시다면 [정보수정]을 통해 이메일주소를 변경하면 됩니다.

티스토리의 또 다른 장점 중 하나는 본인 소유의 블로그를 추가로 개설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같은 아이디로 개설한 블로그는 관리자 페이지를 통해 서로 연동되고 한번의 로그인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티스토리 메인에서 [정보수정]을 클릭했을 때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는데요. 여기에서는 [블로그 메뉴바]의 표시 여부와 만약 한 아이디로 여러개의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면 [대표블로그 설정], [메일 수신 여부] 등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 메뉴바는 본인 블로그의 맨 위에 표시되는 티스토리 메뉴를 의미하는데 개인 입장에서는 굳이 메뉴바를 보이게 할 필요는 없겠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상과 같이 티스토리를 초대받은 후에 블로그를 개설하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보았습니다.
이제 즐겁게 블로깅을 하시는 일만 남았네요.

태터툴즈와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액션툴즈[태터툴즈 이용하기] 카테고리를 참고하시구요. 블로그에 관한 일반적인 내용들은 [블로그와 시민운동] 카테고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