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접근성, 무엇일까?

accessibility-banner-tablet.jpg
▲ 출처: http://bit.ly/1xR7BUY


스마트폰 사용자가 3,500만을 바라보는 시대, 장애를 가진 사람과 장애를 가지지 않은 사람 모두가 웹/모바일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게 함을 의미하는 ‘접근성‘은 관련 실무자나 장애인이 아니라고 해도 꼭 눈 여겨 보아야 할 사항인데요.

접근성의 중요성은 웹을 ‘장애의 속박 없이 모든 사람들이 손쉽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라고 정의한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의 창시자 팀 버너스 리(Time Berners-Lee)경의 말 속에도 잘 나타나 있습니다. 모든 사용자가 신체적(장애인, 일반인, 고령자), 환경적 조건(PC, 모바일, 태블릿, 브라우저 등)에 관계 없이 웹에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이 접근성인 것이지요.

# 접근성, 꼭 해야할까?

접근성에 대한 보장은 <국가정보화기본법>과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장애인차별금지법)> 등에 명시된 의무사항인데요. 이에 따라 공공기관은 지난 2009년부터 웹접근성을 준수해야 하고, 민간 법인의 웹사이트는 2013년 4월을 기점으로 오는 2015년까지 웹접근성을 준수해야 한다고 합니다.

여기서 잠깐, 모바일웹/앱에도 접근성이 적용될까요? ‘장애인차별금지법’이  모바일 시대 이전에 만들어지기는 했지만 이 법 자체가 정보접근과 관련된 포괄적인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에 웹과 동일하게 모바일의 경우도 접근성을 준수해야 한다고 합니다.

지키지 않을 경우(악의적인 경우), 형사 소송을 통해 처벌도 가능하기 때문에 접근성은 더욱 중요합니다. 특히 우리 생활과 밀접한 포털, 은행, 쇼핑, 관공서, 병원 등은 다른 사이트들보다 먼저 관심을 받을 수 밖에 없는데요. 접근성이 강화될 수록 서비스 이용자는 증대될 것이고, 기관이나 기업의 이미지 재고 및 사회공헌 측면에서도 긍정적이기 때문에 접근성 향상을 위한 노력은 꼭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 접근성, 어떻게 평가할까?

먼저 어떠한 것들이 접근성에 위배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은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할 텐데요.

주요한 필요 기능들은 아래 정도를 들 수 있겠습니다.

– 음성기능을 통해 텍스트나 이미지를 정확한 순서와 소리로 읽어 주는 기능

– 글자의 크기를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 동영상에 자막 또는 수화가 삽입

– 마우스 없이도 웹/모바일 페이지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그렇다면 어떻게 웹접근성을 평가할 수 있을까요? 평가는 소프트웨어를 통해서 쉽게 가능한데요. 대표적으로는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운영하는 웹접근성연구소에서 개발한 ‘W-WAH 4.0’을 들 수 있겠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에 따라 웹사이트(웹페이지)가 접근성 지침의 주요 6개 지침을 준수하는지 자동 점검해주는 소프트웨어라고 합니다. 

K-WAH 소개 및 다운로드

이 외에도 국제 웹 표준화 기구인(W3C)에서 제공하고 있는 웹접근성 가이드라인(영문버전), 토론도 대학의 인클루시브 디자인 연구센터에서 개발한 HTML 평가툴인 AChecker(Web Accessibility Checker), NHN에서 제작한 웹접근성 점검툴인 N-WAX(NHN Web Accessibility eXtension) 등도 유용한 점검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생각보다 가까이에 있는 접근성

 

▲ 다음의 웹접근성 프로젝트인 ‘다룸’의 기획 및 진행의도를 담은 영상

앞서 언급한 것처럼 포털과 주요 서비스들도 접근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을 해오고
있는데요. 다음커뮤니케이션과 네이버는 각 사의 서비스와 관련된 접근성 준수사항, 변경 사항들을 공유하고 관련된 발표, 세미나 자료
등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과 활용은 아래 각 링크들을 참고 하시면 되겠습니다.

다음의 웹접근성 프로젝트 ‘다름’ 소개

네이버의 웹접근성 프로젝트 ‘널리’ 소개

국민메신저로 사랑 받는 카카오톡은 어떨까요? 카카오톡 역시 자체적으로 TF를 꾸려 이모티콘과 캐릭터들의 이름, 표정 등을 안내해주는 기능을 비롯해 100여가지의 사항 개선을 이루어냈다고 합니다. 접근성 강화를 위해 카카오톡이 노력하게 된 이유들을 담은 위 영상도 참고 해보시기 바랍니다. 

 

더불어 모바일앱의 경우도 각 OS에 따라 iOS에는 ‘손쉬운 사용’, 안드로이드는 ‘talkback’ 기능을 통해 접근성을 지원하고 있는데요. 상세한 활용법과 실제 적용 사례는 아래 URL을 통해 참고 해보시기 바랍니다.^^ 

iOS 접근성 / 다룸

지금까지 웹접근성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에서부터 필요성, 평가방법 및 실제 적용 등을 살펴보았는데요.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구별 없이 모두가 더 나은 웹/모바일을 활용하기 위해 꼭 필요한 접근성, 어떤 것이 필요하고 또 개선해 나가야 할지 꼭 확인 해보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