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리더십 프로그램은 비영리단체의 조직 문화와 비영리 활동가들의 존재양식, 그리고 활동방식에 있어 인터넷과 소셜미디어가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실제 비영리 단체를 책임지고 있는 분들과 함께 토론, 실습, 워크샵 등을 통해 리더의 역량을 강화해보는 프로그램입니다.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한 전략적 홍보: 온라인 모금
육심나(다음커뮤니케이션)
** 강의 요약 **
네티즌의 마음을 움직이는 온라인 모금 Tip
온라인의 특징은 ‘빠르고! 확산력이 강하고! 간단하고! 반응이 명확!’ 하기 때문에 많은 비영리기관이 온라인을 통해 모금 이슈를 알리고자 하지만 시도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Daum의 온라인 모금 플랫폼인 희망해에서 진행된 1,500여건의 모금 중 issue-raising과 money- raising에 성공한 모금을 토대로 온라인 모금의 성공 노하우를 전달합니다.
[온라인 모금 플랫폼]
– 포털 사이트 : 희망해, 해피빈
– 크라우드펀딩 사이트 : 유캔펀딩, 굿펀딩, 텀블벅, 개미스폰서(아름다운재단) 등
– 자체 사이트
[온라인 모금 성공 Tip]
1. SNS/블로그/홈페이지 등 온라인 플랫폼을 만들어라!
홈페이지는 정보 저장소, 블로그는 정보 생산소, SNS는 정보 확산소 입니다. SNS는 정보 확산소로서 모금 참여자를 2배, 3배, 10배.. 그 이상으로 확산 시키는 없어서는 안될 도구 입니다.
2. 기관 담당자가 아닌 네티즌이 되어라!
기관의 목소리가 아닌 네티즌의 목소리로 다가가 주세요. 모금정보의 전달 보다는 네티즌의 목소리로스토리텔링하여 ‘모금 이야기’를 전달할 때 네티즌의 마음은 움직입니다.
3.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목표를 제시하라!
온라인 공간은 눈에 보이는 공간이 아닌 만큼 최대한 사실적으로 이슈를 전달해야 합니다. 총괄적인 개요보다는 구체적 피해상황, 사용계획 등 모든 정보를 보다 세밀하게 묘사해 주세요.
4. 사회적 이슈와 함께 호흡하라!
사회적 이슈와 모금액의 연관도는 높습니다. 어린이날은 어린이 모금이 잘되고, 노인 문제가 이슈화되면 노인 모금이 잘 됩니다. 우리 단체와 관련 있는 이슈가 이야기되는 시기를 놓치지 마세요.
5. 후원 결과를 공유하라!
‘얼마가 모였습니다’가 아닌 ‘얼마를 이렇게 사용했습니다’의 관점에서 투명하고 구체적으로 공개 하세요. 후원 결과 공유는 또 다른 모금으로 이어집니다.
6. 헤드 타이틀, 100만번 고민하라!
헤드 타이틀에 따라 모금액은 달라집니다. 같은 모금 내용이라도 타이틀에 따라 기부자는 수배 이상 차이 날 수 있습니다. 모금 내용을 정리한 시간 만큼 모금 제목에 시간을 투자 하세요.
7. 모금을 시각화 하라!
온라인에서는 UI(User Interface)에 따라 사용자의 행동 패턴이 달라 집니다. 텍스트의 나열 보다는 사진, 동영상 등을 통해 시각화 하고 모금에 참여하기 쉽도록 만들어 주세요.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것, 생각은 실행 할 때 비로소 가치를 지니게 됩니다. 다양한 온라인 모금 TIP을꼭 실행하시기 바랍니다.
** 강의 영상 **
관련 자료:
교육복지와 평생학습 영역 리더 분들과 함께 한 제12회 인터넷 리더십 프로그램 현장 이야기!
/ ITcanus.net (2014-04-23)- 다음세대재단 인터넷리더십 프로그램 자료/동영상 모음 / ChangeON.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