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마로님께서 이야기해주신 웹표준화를 읽다가….
웹표준화는 좀더 광의의 개념이겠죠. 자료를 찾다보니 [웹접근성 표준화]라는 말도 있던데 웹접근성 표준화가 마로님께서 예로 든 두가지 경우가 아닐까 싶어요.
(나중에 웹표준화에 대해 신비님과 개발자님께서 잘 설명해주시기를 부탁 ^^)

웹접근성 연구소(http://www.iabf.or.kr/Lab/)라는 곳이 있는데 이곳 홈페이지에서 설명하고 있는 웹접근성은 이렇습니다.

웹접근성은 장애인, 저사양 컴퓨터 사용자, 저속 회선 사용자, 노인, 리눅스, 텍스트 브라우저 사용자 등 신체적, 환경적 조건에 관계없이 웹에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입니다.

[인터넷 웹콘텐츠 접근성 지침]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 지침은 한국 정보통신접근성향상표준화포럼 산하 웹접근성분과위원회가 주축이 되어 제안하는 것으로 국제 표준화 기구인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의 WAI(Web Accessibility Initiative)에서 1999년 5월 제정한 웹 콘텐츠 접근성 가이드라인(WCAG :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1.0)과 WCAG 2.0 초안 (2003년 6월 24일판)을 참고하였으며, 부분적으로 미국 재활법 508조를 참고하여 작성한 것이다. 특히 제정시점을 기준으로 국내의 웹 환경 및 관련 보조기술의 실태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표준(안)을 마련하였다고 합니다.

웹접근성 연구소에 따르면 이 지침을 제정하는 가장 큰 목적은 웹 콘텐츠에 접근하려는 모든 사람들이 어떤 컴퓨터나 운영체제, 또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사용하든지, 또는 어떠한 환경에 처해 있는지에 구애받지 않고 접근할 수 있는 웹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자료는 아래에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경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또 한가지 KADO-WAH라는 소프트웨어가 있습니다.
웹 사이트 접근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설계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인데요.
프로그램 다운로드는 아래에서 가능합니다.

KADO-WAH 프로그램 다운로드

by choas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