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폰이 스마트해졌어요. 폰이 스마트해진 것인지, 사용하는 우리가 더 스마트해지는 것인지요. 둘다입니다.
2009년 11월, 아이폰이 한국에 상륙한 이후, 아이폰4, 안드로이드 등 다양한 스마트폰이 1년 조금 넘는 사이에 우리 사회에 많은 변화를 갖고왔습니다.
스마트폰은 화면이 커지기만 하고, 터치로 동작되는 비싼 폰이기만 할까요? 스마트폰은 폰 이상의 기능을 제공해주는 주머니속에 들어가는 인터넷과 연결된 소형 컴퓨터입니다. 스마트폰의 시대가 가져오는 변화와 혜택에 관해서 알아봅니다.
스마트폰의 성장
버스나 지하철을 타면, 이전에 PMP와 핸드폰 DMB를 보는 모습이 이젠 스마트폰이 많은 사람들의 시선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보도에 의하면, 올해 3월 스마트폰 가입자가 1,000만이 넘고, 올해 말까지 2,000만이 넘을 것이라고 전망합니다.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가 2010년 조사한 <스마트폰이용실태조사 보고서>에 의하면:
- 스마트폰 이용자 ‘이동중인 교통수단 안(77.0%)’에서 이용
-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하루평균 약 1시간 인터넷 이용
- 모바일앱 평균 23.1개 설치, 9.1개 이용 /유료 모바일앱 월평균 10,000원 이상 지출(약 30%)
위 조사결과에서 “하루평균 약 1시간 인터넷 이용”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늘어나면서 인터넷 접근이 사무실이나 자택에 있는 데스크탑PC에서 접근하는 것보다 이동중이나 외출중에 스마트폰으로 접근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미국 투자은행 모건스탠리에서 발표한 리서치에 의하면 2014년이면 모바일 인터넷 접근이 더 빈번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스마트폰과 인터넷 접근 변화
모바일 인터넷 접근이 많아지면서, 이에 따른 인터넷 정보 구조와 콘텐츠도 변한 것으로 예상이 되고 홈페이지와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도 모바일 접근에 최적화된 페이지들로 진화되어야 할 것입니다.
스마트폰은 인터넷 접근 뿐아니라, 지도와 네비 같은 위치기반 서비스, 고급 카메라로 인한 사진과 동영상 캡쳐, App Store에서 다양한 어플을 다운 받고 설치할 수 있는 오픈마켓을 통해 그 가치와 유용성은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몰입성이 높은 게임에 중독될 유혹도 있습니다.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소셜미디어 활용도 스마트폰의 급증으로 사용이 함께 늘어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은 단순 1:1 대화수단을 넘어서 1인 미디어가 될 수도 있습니다.
스마트폰은 비영리에게 단체를 후원하는 일반인들이 쉽게 참여, 홍보와 모금 등 함께 할 수 있는 사회공익적인 활용의 새로운 가능성들이 열어주기도 합니다.
관련 자료:
- <그게뭔데!?> 개념 동영상 시리즈
-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 ‘1천만 돌파’ 카운트다운 Bloter.net (2011-03-14)
- 스마트폰이용실태조사 보고서 한국인터넷진흥원 (2010-07-15)
- Morgan Stanley: Internet Trends 2010 [영문] (2010-06-07)
- CO-UP도 대햑: 사획공헌 스마트폰 어플 50개 CO-UP (2010-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