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blog)는 “웹”과 “로그”의 합성어인 웹로그 (Weblog)를 짧게해서 만들어진 신조어입니다. 처음에는 개인들이 생각을 공유하는 온라인 다이어리로 새작된 블로그는 개인 블로그를 넘어서, 팀 블로그, 단체/기관 블로그, 미디어 블로그, 사진 블로그 다양하게 활용되면서 인터넷 문화에 자리를 잡았습니다.
블로그는 정식 기사의 딱딱함 없이 독자와의 친근감이 있고, 빠르고 편리하게 게시글을 올릴 수 있고, 댓글은 받을 수 있어서, 소통의 매체로 아주 효과적입니다.
블로그의 대중화
2005년 블로그 기자가 백악관 출입 기자로 정식 인정 되기도 하고, 신문사도 스타 기자의 사설 블로그나, 오지에 파견된 기자들이 블로깅으로 현장 정보를 보도하는 경우들이 생기면서 언론의 주류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또한 구글과 같은 개인이 활용할 수 있는 광고 서비스가 생기면서 전문 블로거들이 블로깅하면서 광고 수입으로 생계를 유지해나가는 경우도 생기고, 한국에서는 블로거들의 네트워크로 운영되는 뉴스미디어 블로터닷넷도 있습니다.
다음과 네이버 등 인터넷 포털들이 일반인들이 쉽게 가입하고 운영할 수 있는 블로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 우리나라에서도 블로그가 대중화가 되고, 기업, 정부, 비영리 단체에서도 블로그를 적극적으로 소통 메체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비영리 블로그 활용 잘하기
홈페이지, 블로그, 소셜미디어(트위터, 페이스북 등)는 절친한 관계입니다. 하지만 각 소통 수단의 특징을 잘 이해하고 활용해야합니다. 홈페이지는 기관/단체를 대표하는 사이트로 기관/단체의 소개와 공식적인 정보를 전달하는 창구 역할을 감당합니다. 블로그는 조금 비공식적인 소통 수단으로 기관/단체의 이야기와 사정을 조금 더 친근감있게 전달 할 수 있습니다. 소셜미디어는 이와 같은 이야기나 소식을 팔로어나 팬들에게 소통하면서 공감대를 형성하고 댓글, 응원, 참여를 유도하는 기능에 적절합니다. 세 소통 체널의 유기적 관계는 기관/단체의 다양한 모습을 소통함으로 사람들과의 지속적인 관계를 만들어 나갈 수 있습니다.
블로그의 종류
설치형 블로그
설치형 블로그는 본인이나 단체/기관에서 관리하는 서버에 직접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블로그입니다. 서버와 개발 인력이 있고, 개인의 취향이나 단체/기관 브랜딩이 제일 잘 나타나는 자유로운 형태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설치형 블로그 소프트웨어는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설치 후 개조하는 경우가 많고, 원하는 서비스, 플러그인, 디자인 등 다양하게 개인의 취향이나 단체/기관의 니즈와 브랜딩에 맞게 설치 및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물론, 설치과 개발을 할 수 있는 지식이나 인원이 있어야하는 부담도 있습니다.
특징:
- 오픈소스
- 많은 플러그인 활용
- 자유로운 디자인 편집
- 전용 도메인 사용 가능
- 별도 서비 필요 (운영비용 발생)
- 개발/관리 인력이 필요
대표 서비스:
텍스트큐브 (textcube.org) |
워드프레스 (wordpress.org) |
무버블타입 (movabletype.org) |
활용 사례:
이외에도 Drupal와 같은 다양한 오픈소스 출판 플랫폼(CMS)들은 블로그 모듈도 별도로 갖추고 있습니다.
가입형 블로그
가입형 블로그는 포털이나 신문사 등에서 회원들이 가입만하면 활용할 수 있는 블로그 서비스 입니다. 사용하기는 편리하지만,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툴들만 활용할 수 있는 제약이 있습니다.
특징:
- 쉽고 편리한 접근
- 포털의 영향력과 검색에 자동 노출
- 무료
- 디자인과 구성이 포털에서 제공되는 것으로 제한
- 전용 도메인가 아닌 포털 주소를 사용
- 데이터 이동이 쉽지 않음
대표 서비스:
다음 블로그 (blog.daum.net) |
네이버 블로그 (blog.naver.com) |
구글 블로거 (blogger.com) |
활용 사례:
혼합형 블로그
혼합형 블로그는 서버를 직접 관리하는 부담이 없으면서 자유롭게 디자인을 브랜딩에 맞게 구현할 수 있는 블로그 형식으로 파워블로거들이 선호하는 형식이기도 합니다. 무료 서비스로 제공 되는 경우도 있고, 무료는 기본 기능만 제공, 소액의 비용으로 고급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도 있습니다.
특징:
- 서버 불필요
- 전용 도메인 지원
- 적당한 수준의 자유로운 디자인 편집 가능
- 데이터 백업 및 이동 가능
- 고급 기능은 유료 (워드프레스 경우)
대표 서비스:
티스토리 (tistory.com) |
워드프레스 (wordpress.com) |
활용 사례:
ChangeON.org 콘텐츠 파터너 블로그
참고로 ChangeON.org 콘텐츠 파터너들의 블로그와 사용하는 블로그 소프트웨어를 소개합니다.
혼합형 블로그
- lovesera.com: ART of VIRTUE (티스토리)
- 내 품 속 이야기 (티스토리)
- 버섯돌이의 소셜웹 인사이트 (티스토리)
- 강팀장의 e-Biz Story (티스토리)
- 에스티마의 인터넷 이야기 (워드프레스)
설치형 블로그
- 하이컨셉 & 하이터치 (텍스트큐브)
- CO-UP.com (워드프레스)
- Impact Square 블로그 (워드프레스)
—
관련 자료:
- <그게뭔데!?> 개념 동영상 시리즈 / ChangeON.org
- 웹서비스? 그게뭔데!? / ChangeON.org (2011-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