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에서의 검색은 매우 중요하다는 건 너무나 자명한 사실이다.
네이버도 검색으로 한국 인터넷 시장을 장악하고 있고, 구글 또한 검색으로 전세계 인터넷 시장을 야금야금 잠식해나가고 있다.

‘정보’를 찾기 위해 홈페이지나 블로그를 방문했는데 검색창이 없다면 대략 난감이다.
불과 몇년 전만 해도 시민사회단체들의 홈페이지에서 검색창을 발견하기 어려웠는데 그대로 최근에는 그누보드제로보드와 같은 오픈소스형 홈페이지 솔루션을 많이 쓰면서 검색이 가능해졌다. 그럼에도 그와 같은 자체 검색엔진만으로도 불만을 느낀다면 외부 검색엔진을 이용해보는 것도 방법이다. 최근 개방과 공유, 참여의 웹2.0 서비스가 속속 출현하면서 그것이 가능해졌다.

바로 구글의 검색엔진을 이용하는 것이다. (국내 이용자들에게는 여전히 구글 검색 결과가 낯설게 느껴지겠지만 원하고자 하는 결과를 찾아내는데는 꽤나 쓸만하다) 구글이 누구든지 자신이 운영하는 홈페이지나 블로그에 검색엔진을 달 수 있도록 해주는 Google Custom Search Engine 서비스를 내놓았기 때문이다.

이용하는 방법은 아래 구글 비공식 블로그의 포스트를 참고하시기 바란다.


구글 비공식 블로그 : http://www.hoogle.kr

내 블로그에 구글 검색엔진 설치하기
http://www.hoogle.kr/entry/google-custom-search-engine-install

설치과정이 그렇게 복잡하지도 않고, 홈페이지와 블로그를 자체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능력만 된다면 쉽게 설치할 수 있다. 조금 전에 액션툴즈에 설치해봤었는데 좋은 검색결과를 볼 수 있었다. (다만, 태터툴즈 시스템의 검색창만으로도 충분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다시 되돌렸다)

Google Custom Search Engine에서 가장 매력적으로 느낀 점은

단지 하나의 블로그나 홈페이지의 검색 결과만을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이용자가 선택한 몇개의 블로그나 홈페이지를 한꺼번에 검색할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이다.

또 한가지는

지정한 사이트 내의 검색결과만 요청할 수도 있고, 구글이 보유하고 있는 전체 웹검색 결과를 요청할 수도 있고, 전체 웹을 검색하는데 자신이 지정한 홈페이지의 검색결과를 도드라지게 보이게 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자체 검색창이 없거나 설령 검색기능이 있닥 하더라도 DB가 통합되지 않은 몇개의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다면 이용해볼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보여진다.